
[목차] 혁신 : 사전 경고 1. 혁신의 상상 2. 해카톤과 신자본주의 정신 3. 밋업 : 커뮤니티 레버리지 4. 액셀러레이터, 스타트업 그리고 자본의 순환 5. 벤처 캐피털 사무실과 자본의 집중 6. 수변 공간에서 : 브루클린의 '혁신 해안선' 7. 파이프라인 : 인재, 성과주의 그리고 학문 자본주의 8. '혁신의 주소' 작가노트 : 방법론과 연구 과정 구매링크 : https://han.gl/laQtc
[제1편]도시와 지역 전환 : 15분 도시와 30분 지역을 위한 파리의 관문(Portes de Paris) 프로젝트 서문 - 새로운 ‘크로노-어버니즘(Chrono-urbanisme)’을 위하여-도시와 디지털 Part 1 서론 -연구배경-시간 중심의 도시계획 Part 2 방법론 -연구의 공간범위-HQVS 매트릭스의 전개: 지역 역동성의 발현기제이자 해석방법-지역의 사용자와 행위자: 사업 분석도구-데이터 수집 과정: 도시 예측-지표: 6가지 도...
목차 1장 마을의 가치를 만들다 1. 지역과 공간을 연결하는 작은 실험실, 영도 대통전수방 (홍순연) 2. 서울역일대 거점시설을 도시재생회사가 위탁운영관리하다 (백해영) 3. 마장축산물시장의 환경개선을 통한 도시재생 (강헌수) 2장 청년들이 앞장서다 1. 지역혁신 창업가들이 만들어가는 새로운 임팩트 ‘로컬라이즈 군산’ (조상래 외) 2. 강원에 새로운 물결을 만드는 사람들, 더웨이브컴퍼니 (김지우) 3. 쓸모없다고 여겨지는 것들 ...
목차 1장 서울·경기 1. 주민이 주인이 되어 다시 찾은 창신 숭인 (손경주) 2. 사람 향기 품은 향림마을의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여관현) 3. 시흥, 주민 주도 도시재생 추진사례와 방향 (김상신) 4. 역사의 거리를 걸으며 행궁의 미래를 보다 (신지훈) 2장 부산·대구·경상 1. 주민이 함께하는 부산 마을 공동체 (오태석) 2. 대구 도시재생사업, 진화를 위한 고민과 노력 (이자복) 3. 성장과 불균형 ...
목차 제후와 두 도시 서문 Ⅰ. 쇠퇴의 증상들 Ⅱ. 파괴되는 일자리 Ⅲ. 주거-빈 조개껍질 IV. “얄타익(yaltaique)”한 기초자치단체간 협력 V. 공백학개론 VI. 심미성의 탄생 VII. 도시기능주의 VIII. 공백의 기능주의화 IX. 관광 2.0: 거대한 착각 X. 기능과 정체성 XI. 스노우볼 세계의 은유 XII. 초고속의 신화 XIII. 신은 어떻게 두 개의 세상을 창조하였는가 XIV. 이미지의 간극 XV. 계급투쟁의 지역화 X...
목차 머리말 서문 감사의 글 PART 01 사물의 질서 교란시키기 PART 02 전술적 어버니즘의 영감과 전례 PART 03 다음 세대 미국 도시와 전술적 어버니즘의 부상 PART 04 도시와 시민의 : 다섯 가지 전술적 어버니즘 이야기 PART 05 전술적 어버니즘의 방법 <!--[data-hwpjson]{ "documentPr": { "di": "", "dp": { "dn": "test.hwp", "ta": 1, "d1": 5, "d2"...
목차 제1장 이 책의 활용방법 - 공민연계 실천가이드 1-1 이 책의 목적 관과 민간의 참된 연계, 이상을 현실로 만든다 1-2 이 책이 대상으로 하는 유형 강력한 경영에 의한 새로운 공공사업 1-3 이 책을 읽는 방법 선구적 실천사례에서 공통점을 읽는다 1-4 세 가지 유형 민간주도 형태워 사업구조 유형화 1-5 어떤 유형을 기본으로 할 것인가 3가지 유형을 응용, 유연하면서 창조적으로 제2장 '민간주도·공공지원'의 세 가지 유형 사례1 아...
목차 머리말 제1장 번영하는 상점가는 1%에 불과하다 전국으로 확산하는 '셔터 거리' 활성화된 상점가의 공통점 제2장 '상점가'의 원래 의미는 무엇인가? 신주쿠와 긴자도 '상점가'이다 상점가 활성화 사업이란? 상점가라는 '장소'와 상점가 '조합'의 혼동 상점가 조직의 과제 제3장 '마을 만들기'를 목표로 설정한 것이 과오 상점가 활성화를 조합에 맡겨서는 안 된다 마을 만들기를 지향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제4장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점가 활성화가...
목차 1. 여는 글 2. 우리 도시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가까운 미래 2.1. 인구구조와 산업구조의 변화 2.2. 노령화에 따른 사회경제적 변화 3. 도시재생 정책과 사업 3.1. 정책의 비전과 목표 3.2. 사업 실행의 한계와 향후 과제 4. 도시재생 사업의 실천적 사례 4.1. 공동체 이익회사(CLC, Community Interest Company)를 꿈꾸는 이바구캠프와 커뮤니티 케어 4.2. 지속가능한 지역자산회사(TMO, Town ...
목차 발간사 기획의 글 01 이슈로 보기 1장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성과와 한계 2장 도시재생사업에서 민간역할 재정립과 공공지원 차별화 방안 3장 바람직한 도시재생 성과지표 설정 및 성과관리 4장 젠트리피케이션 부작용 대응을 통한 성공적 지역 활성화 방안 5장 포용적 도시재생을 위한 사회적 부동산 활성화 방안 02 장소로 보기 6장 도시경제기반형 도시재생의 현황과 과제 7장 역세권 재생의 그간 한계와 개선을 위한 몇 가지 원칙 및 방안 8장 유...